• 목록
  • 아래로
  • 위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97354?sid=102

 

한국의 대학생이 대포 통장 사기 행각에 동원됐다가 고문 끝에 살해당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캄보디아의 범죄 실태에 이목이 쏠리는 가운데, 범죄 수장들에게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국 BBC 등 주요 외신은 최근 미국 법무부가 영국과 캄보디아 국적의 천즈(39) 프린스 그룹 회장을 강제 노동 수용소 운영과 대규모 암호화폐 사기 기획 혐의로 기소했다고 보도했다. 법무부는 그가 보유한 150억달러(약 21조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몰수하기 위한 소송도 함께 제기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압수 소송이다.

천 회장은 미국과 영국의 합동 제재도 받게 됐는데, 영국 정부는 그와 그의 회사가 보유한 런던 소재 19개 부동산 등 자산을 동결했다.

천 회장은 자선사업가를 자처하며 캄보디아에서 수년간 장학 재단을 운영해온 인물로 알려졌다. 그가 운영하는 프린스 그룹은 캄보디아에서 부동산 개발, 금융, 관광, 물류, 식음료 등 사업을 해오고 있다.

1987년생인 천 회장은 중국 푸젠성 출신으로 '청년 사업가'로 캄보디아에서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다. 꾸준히 현지 정계에서 발을 넓히던 그는 훈 센 캄보디아 전 총리의 정치 고문으로도 임명돼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캄보디아 교육 및 체육 관련 정부 부처와 협력해 현지에서 다양한 장학 프로그램을 전개해, 지난 4월 '비즈니스계의 오스카'로 불리는 스티비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인권·정책 연구기관 휴머니티리서치컨설턴시(HRC)는 지난 5월 공개한 보고서에서 천 회장을 범죄조직 배후로 지적했다. 이에 천 회장 측은 공개적으로 이를 부인하며 "익명 제보와 추측, 신뢰할 수 없는 보고서에 의존한 내용"이라면서 "증거, 법원의 판결 없이 제기된 명예훼손적 주장"이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정계와의 유착으로 캄보디아 정부가 천 회장을 보호하고 있으며, 그가 중국에서의 범죄행위로 수배 상태라는 보고서 주장에 대해서는 "뒷받침할 만한 중국 법원 명령, 체포 영장 또는 공식 성명이 없다"고 했다.

그렇지만 미 법무부는 천 회장이 현재 도주 중이며, '거대 사이버 사기 제국'의 배후 조종자라고 발표했다.

BBC는 천 회장이 대규모 인원을 수용하기 위한 특별 시설을 관리하고, 공범들과 함께 수백만개의 휴대전화번호를 입수해 보이스피싱 사기를 기획했다고 보는 현지 검찰의 법원 문서를 입수해 보도했다. BBC는 유죄 판결이 내려질 경우 천 회장이 최대 40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재무부도 같은 날 프린스 그룹을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규정하고서 천 회장을 비롯한 이 그룹과 관련해 146건의 제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천 회장 외에 시아누크빌 범죄 단지에서 주로 활동한 쉬아이민(徐愛民·63)·둥러청(董樂成·57)·셔즈장(佘智江·43) 등 중국 출신 범죄자들도 유사 범죄 배후로 꼽히며 미 재무부 제재 명단에 올랐다.

재무부는 지난달 동남아 국가들이 미국인을 상대로 벌인 사기 범행의 피해 금액이 100억달러(약 14조원)에 달한다면서 제재 리스트를 공개했는데, 쉬아이민은 2013년 중국에서 불법 온라인 도박 조직을 운영한 혐의로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도주해 인터폴 적색 수배 중이라고 소개했다. 쉬아이민은 홍콩에서도 4600만달러(약 654억원)의 자금을 세탁한 혐의로 수배된 상태다.

쉬아이민은 캄보디아 항구도시인 시아누크빌에서 호텔 사업가 행세를 하며 시내 한복판에 보이스피싱 범죄의 근거지가 될 기업(KB 호텔)을 설립하고,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쉬아이민 소유 건물에서 외국인을 비롯한 노예 노동자들이 감금당한 채 사기 행위를 강요당하고 있다는 게 재무부의 설명이다.

둥러청은 2008년 중국에서 자금 세탁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바 있으며, 뇌물 수수와 불법 온라인 도박 조직 운영 혐의로 조사를 받았었다.

불법 도박 혐의로 중국에서 유죄 판결받은 뒤 도주해 2015년부터 캄보디아에서 사기단을 조직해 운영한 셔즈장은 최근 미얀마·태국까지 밝을 넓힌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와 캄보디아 국적을 취득해 수년간 여러 가명을 돌려쓰며 활동했고, 2022년 중국이 발부한 인터폴 적색 수배령에 따라 태국에서 체포됐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미국 재무부, 미얀마 이라와디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내 온라인 사기 범죄 대부분은 중국계 폭력조직과 연계돼 있으며, 삼합회(三合會)가 그 핵심으로 꼽힌다. UNODC는 보고서에서 마카오 등에서 도박산업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중국 범죄단체들이 당국의 단속 강화 등으로 캄보디아 등 동남아 지역으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경제특구 등이 이로 인해 삼합회 일파인 '14K'와 '선이온(新義安)' 등 범죄조직 근거지로 부상했다.

UNODC는 시아누크빌뿐만 아니라 태국과 접한 라오스 북서부 보케오주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도 인신매매와 온라인 사기, 마약 밀매 등 각종 범죄 온상으로 자리 잡았다며 시아누크빌과 더불어 강력한 규제가 없는 경제특구가 범죄에 노출되는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삼합회 중에서도 동남아 온라인 범죄와 관련해 가장 많이 거론돼온 조직은 '14K'다. 14K 지도자는 '부러진 이빨'로 불리는 완 콕코이(尹國駒)로 알려졌다. 마카오에서 가장 악명 높은 삼합회 조직 두목이었던 그는 1998년 체포돼 약 14년간 복역했다. 2012년 출소 이후 그는 "조용히 살고 싶다"고 말했지만, 다시 사업에 뛰어들어 동남아 전역으로 확장했다.

삼합회 조직은 동남아에서 당국과의 결탁 혹은 관료들의 부패에 따른 묵인과 방치 속에 세를 불렸다.

미 재무부는 완 콕코이가 동남아에서 불법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며 2020년 이들 3개 법인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당국은 당시 홍먼 측이 캄보디아와 말레이시아 지도층 인사 포섭에 성공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