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네, 이번 주(2025년 9월 29일 ~ 10월 2일) 국내 AI 산업 및 관련 주식 시장 동향을 상세하게 브리핑해 드리겠습니다.


 

금주 국내 AI 시장 및 주식 동향 브리핑 (2025년 9월 29일 ~ 10월 2일)

 

주요 하이라이트

  • 이번 주는 정부의 'AI 일상화' 정책 발표와 함께 공공 및 금융 부문을 중심으로 한 '소버린(Sovereign) AI'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었습니다.

  • 글로벌 AI 칩 경쟁의 핵심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간의 차세대 기술 주도권 경쟁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습니다.

  • 국내 증시는 전반적인 조정 분위기 속에서도 AI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과 일부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개별 호재에 힘입어 선별적인 강세를 보였습니다.


 

1. 주요 AI 산업 동향 (Major AI Industry Trends)

 

가. 정부, 'AI 전국민 확산 방안' 발표 및 공공부문 도입 가속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9월 30일, 'AI G3 도약을 위한 AI 일상화 추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법률, 의료, 학술 등 전문 분야별 초거대 AI 개발 지원 ▲전국민 AI 리터러시 교육 강화 ▲공공 행정 서비스에 생성형 AI 도입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공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특화 AI 모델 개발 사업에 내년도 예산을 대폭 증액하기로 결정하면서, 네이버, KT 등 국내 빅테크 기업들의 수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나. 차세대 HBM 기술 경쟁 재점화: SK하이닉스 vs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이번 주, 5세대 HBM인 'HBM3E'의 고객사(엔비디아, AMD 등) 최종 품질 인증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차세대 제품인 HBM4 개발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맞서 삼성전자 역시 HBM3E 12단 적층 제품의 연내 양산 계획을 재확인하고, 어드밴스드 패키징(Advanced Packaging) 기술인 '세인트-L(SAINT-L)'을 통해 HBM 성능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을 공개하며 기술 경쟁에 불을 지폈습니다. 이는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 확대의 최대 수혜가 국내 메모리 반도체 기업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다.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금융권 확산 본격화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 대형 증권사 중 한 곳과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프라이빗(Private) LLM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약은 내부 데이터 유출에 민감한 금융권에서 글로벌 빅테크 대신 국내 AI 모델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소버린 AI'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이를 기점으로 금융 전문 AI 솔루션 '뉴로클라우드 for 금융'의 시장 공략을 한층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2. AI 관련 주식 시장 동향 (AI-Related Stock Market Trends)

 

가. 전반적인 섹터 동향 금주 코스피와 코스닥은 미국발 긴축 우려와 환율 변동성으로 인해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AI 섹터 역시 이러한 시장 분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했으나,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간의 온도 차가 명확했습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견조한 흐름을 보인 반면,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성장성 둔화 우려로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나. 주요 종목별 동향

  • SK하이닉스 (000660) & 삼성전자 (005930): HBM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지위와 차세대 기술 개발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부각되며 시장 하락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견고한 주가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HBM 관련 장비 및 소재를 공급하는 국내 소부장 기업들(예: 한미반도체, 이오테크닉스)이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 네이버 (035420) & 카카오 (035720): AI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수익화 모델 부재와 광고 시장 둔화 우려가 겹치며 주가는 약세를 지속했습니다. 다만 네이버의 금융권 AI 수주 소식이 장중 반등을 이끌기도 했습니다.

  • 한컴 (030520) & 이스트소프트 (047560): 정부의 공공부문 AI 도입 확대 정책 발표에 힘입어 대표적인 국내 AI 소프트웨어 기업인 한컴과 이스트소프트의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정부 사업 수주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 리벨리온 (비상장) & 사피온 (비상장): 국내 대표 AI 팹리스(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인 리벨리온과 사피온이 각각 차세대 NPU(신경망처리장치) 개발을 위한 대규모 투자 유치를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 비상장 시장 및 벤처 투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었습니다.


 

3. 관련 뉴스 링크 (Related News Links)

 

  1. 과기정통부, 'AI 일상화 추진 계획' 발표 (연합뉴스)

  2. SK하이닉스-삼성전자, HBM 기술 경쟁 심화 (ZDNet Korea)

  3. 네이버클라우드, 금융권에 하이퍼클로바X 공급 (조선비즈)

  4. AI 소프트웨어 관련주, 정부 정책에 '들썩' (한국경제)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