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타이쿤
- 조회 수 65
https://www.chosun.com/english/world-en/2025/10/11/KBCCUB2LOZGB5OFBXVLYUFCTHI/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33880?sid=104
1.
Commemorating 80 years since the end of the war
(Introduction)
Eigh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nd of the last war.
Over the past 80 years, Japan has consistently followed the path of a peace-loving nation and made every effort to contribute to world peace and prosperity. Japan's peace and prosperity today are built on the precious lives of those who died in the war and on a history of hardship.
Through my visit to Iwo Jima in March, my visit to the Philippine War Dead Monument in Caliraya, Philippines in April, my attendance at the Okinawa Memorial Service for All War Dead and my visit to the Himeyuri Peace Memorial Museum in June, my attendance at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tomic bomb victims in Hiroshima and Nagasaki in August, and my attendance at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 for the War Dead on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ar, I have once again pledged to deeply engrave in my heart the remorse and lessons of the last war.
To date, statements by the Prime Minister have been issued on the 50th, 60th, and 70th anniversaries of the end of the war, and I have inherited the position of previous Cabinets regarding historical recognition.
In the three previous statements, there has been little mention of why the war could not be avoided. Even in the statement marking 70 years since the end of the war, there is a passage that says, "Japan attempted to resolve the diplomatic and economic impasse through the use of force. The domestic political system was unable to stop this," but no further details are given.
Why was the domestic political system unable to put a stop to this?
Following World War I, the world entered an era of total war, and according to predictions made by the "Total War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by the Cabinet before the outbreak of war and the so-called "Akimaru Institute"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the Army, defeat was inevitable. Many experts also felt that waging war would be difficult.
Even though the government and military leaders were aware of this, why did they fail to make the decision to avoid war and instead rush ahead with a reckless war, resulting in the loss of so many innocent lives both at home and abroad? Former Prime Minister Yonai Mitsumasa pointed out, "We must be careful not to end up in a huge dire situation by trying to avoid a dire situation," so why was a major reassessment of this course not made?
At this turning point of 80 years since the end of the war, I would like to reflect on this together with the people of Japan.
(Problems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
First, there were institutional problems at the time. Prewar Japan did not have a system for properly integrating politics and the military.
Under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 the supreme command, or the authority to command the military, was considered independent, and the principle of "civilian control," which states that politics, or civilians, must always have prece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the military, did not exist institutionally.
The powers of the Prime Minister were also limited. Under the Imperial Constitution, all ministers of state, including the Prime Minister, were considered equals, and although the Prime Minister was considered the head of state, he was not institutionally given the authority to command and direct the Cabinet.
Even so, up until the time of the Russo-Japanese War, the Genro played a role in integrating diplomacy, military affairs, and finances. The Genro, who had served in the military as samurai, had a good understanding of military affairs and were able to control them. In the words of Maruyama Masao, "the intermediaries of supra-constitutional figures such as the Genro and senior vassa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unifying national will.
As the Genro gradually passed away and these informal systems weakened, political parties attempted to integrate politics and the military under the Taisho democracy.
Amid the great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world following World War I, Japan became one of the main players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became a permanent member of the League of Nations. Government policy in the 1920s was to restrain imperialist expansion, as reflected in the Shidehara diplomacy.
In the 1920s, public opinion was unfavorable to the military, and political parties were calling for large-scale disarmament. Military personnel felt uncomfortable, and the backlash against this is said to have been one of the reasons behind the rise of the military during the Showa period.
Previously, supreme command authority was limited to military orders related to operational command, and military administration related to budgets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was interpreted and applied as a matter for the advice of the Ministers of State, who were members of the Cabinet. I believe that the systemic problem of the absence of civilian control was, in a sense, covered up by the application of this authority by the Genro and then by political parties.
(Government issue)
However, the meaning of supreme command was gradually broadened, and the independence of supreme command came to be used by the military as a means to eliminate government and parliamentary involvement and control over military policy and budgets in general.
During the era of party cabinets, political parties competed to expose scandals in order to gain power, and as a result, they lost the trust of the people. In 1930, the opposition Rikken Seiyukai party teamed up with a section of the navy in an attempt to destabilize the Rikken Minseito cabinet, and launched a fierce attack on the government over the ratification of the London Naval Treaty, claiming that it was an infringement of supreme command authority. The government narrowly managed to ratify the London Naval Treaty.
However, in 1935, the Constitutional scholar and House of Peers member Minobe Tatsukichi's Emperor Organ Theory was criticized by the Rikken Seiyukai party as a means of attacking the government, and it developed into a political issue that also involved the military. Okada Keisuke Uchiyami at the time tried to distance himself politically from the issue, saying that there was "no choice but to leave the doctrinal issue to the scholars," but ultimately succumbed to the demands of the military and issued two manifestos of the National Polity Clarification Declaration, which rejected the Emperor Organ Theory, which had previously been the conventional position, and Minobe's works were banned.
In this way, the government lost control over the military.
전쟁 종결 80주년 기념
(서론)
지난 전쟁이 끝난 지 80년이 흘렀습니다.
지난 80년 동안 일본은 평화를 사랑하는 국가의 길을 꾸준히 걸어왔으며,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습니다. 오늘날의 일본의 평화와 번영은 전쟁으로 희생된 소중한 생명들과 고난의 역사 위에 세워졌습니다.
3월 이오지마 방문, 4월 필리핀 칼리라이야의 필리핀 전사 추모비 참배, 6월 오키나와 전몰자 추모식 참석 및 히메유리 평화기념관 방문,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희생자 추모식 참석, 전쟁 종결 기념일을 맞아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 참석 등을 통해, 저는 지난 전쟁의 교훈과 반성을 마음속에 깊이 새기겠다는 결의를 다시 한번 다졌습니다.
과거 50주, 60주, 70주년 전쟁 종결 기념일에는 총리 담화가 발표되었으며, 저는 역사적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계승해왔습니다.
그러나 이전 세 차례의 담화에서는 "왜 전쟁을 피할 수 없었는가"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습니다. 70주년 담화에서도 "일본은 외교·경제적 교착 상태를 무력으로 해결하려 했으며, 당시 정치 체제는 이를 막지 못했다"는 내용이 있지만,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되었습니다.
왜 당시 정치 체제는 전쟁을 막지 못했을까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총력전 시대에 접어들었고, 전쟁 발발 전 내각에서 설립한 '총력전연구소'와 육군성 산하 '아키마루 연구소'의 예측에 따르면 패배는 불가피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도 전쟁 수행이 어려울 것이라 판단했습니다.
정계와 군 지도부도 이를 인지했음에도, 왜 전쟁 회피 대신 무모한 전쟁을 선택해 국내외 수많은 무고한 생명을 희생시켰을까요? 요나이 미쓰마사 전 총리는 "위기를 피하려다 더 큰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 왜 이러한 경로에 대한 근본적 재평가와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았을까요?
전쟁 종결 80주년이 되는 이 시점에서, 일본 국민 여러분과 함께 이 문제를 성찰하고자 합니다.
(일본제국 헌법의 문제점)
첫째, 당시 제도적 문제가 있었습니다. 전쟁 전 일본은 정치와 군부를 효과적으로 통합하지 못했습니다.
일본제국 헌법 하에서 군 통수권(군대를 지휘하는 최고 권한)은 독립적이었으며, "문민 통제"(정치·민간인이 군부와의 관계에서 항상 우위를 가져야 한다는 원칙)는 제도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총리의 권한도 제한적이었습니다. 제국 헌법 하에서 총리를 포함한 모든 국무대신은 동등한 지위로 여겨졌으며, 총리가 명목상 국가 원수였음에도 내각을 지휘할 제도적 권한은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러일전쟁 시기까지는 "원로"(겐로)가 외교·군사·재정을 통합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사무라이 출신으로 군사에 정통한 겐로들은 군부를 통제할 수 있었습니다. 마루야마 마사오의 표현대로 "겐로나 고위 가신 같은 초헌법적 중재자"가 국가적 의지를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겐로들이 점차 사라지고 비공식적 시스템이 약화되자, 다이쇼 민주주의 아래서 정당 정치 세력이 정치와 군부 통합을 시도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사회 변화에 발맞춰 일본은 국제 협력의 주역이 되었고, 국제연맹 상설 이사국이 되었습니다. 1920년대 정부 정책은 시데하라 외교로 대표되듯 제국주의 팽창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었습니다.
1920년대 여론은 군부를 경계했고, 정당들은 대규모 군축을 요구했습니다. 군부는 이에 반발했으며, 이는 쇼와기 군부 확장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원래 군 통수권은 작전 지휘와 직접 관련된 군사 명령에 한정되었으나, 예산 및 조직 발전을 포함한 군 행정은 내각의 국무대신 자문으로 처리되었습니다. 즉, 군 통수권의 확대는 겐로와 정당 정치가 일시적 타협으로 은폐한 문민 통제 부재 문제를 드러낸 것입니다.
(정부의 한계)
그러나 군 통수권의 의미가 점차 확대되며, 군부는 이를 정부와 의회의 군사 정책 및 예산 간섭을 배제하는 수단으로 활용했습니다.
정당 내각 시기에는 정당들이 권력 다툼을 위해 스캔들을 폭로하며 국민의 신뢰를 잃었습니다. 1930년에는 야당인 익헌정우회(立憲政友会)가 해군 일부 세력과 결탁해 런던 해군 군축조약 비준을 "통수권 침해"라며 공격했고, 정부가 간신히 조약을 통과시켰습니다.
1935년에는 헌법학자 미노베 다쓰키치의 "천황기관설"이 익헌정우회에 의해 정부 공격 도구로 이용되며 정치 문제로 비화되었고, 군부도 개입했습니다. 당시 오카다 게이스케 총리는 "이론적 문제는 학자들에게 맡겨야 한다"며 정치적 거리를 두려 했으나, 결국 군부의 압력에 굴복해 천황기관설을 부정하는 국체명징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미노베의 저서는 금서가 되었고, 이로써 정부는 군부 통제권을 완전히 상실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본은 민주주의와 군부 통제 사이의 균형을 잃어버렸으며, 이는 결국 파국적 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80년의 세월을 돌아보며, 우리는 과거의 교훈을 되새기고 평화의 가치를 재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2
(Parliamentary issues)
Parliament, which should have exercised control over the military, is also losing its function.
A prime example of this was the expulsion of House of Representatives member Takao Saito. At a plenary session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on February 2, 1940, Saito criticized the war's escalation and harshly questioned the government about its aims. This was a so-called anti-military speech. The Army strongly opposed the speech, claiming it was an insult to the Army, and demanded Saito's resignation. Many members of parliament agreed, and Saito was expelled by an overwhelming majority of 296 votes in favor and 7 against. This was a rare example of a member of parliament trying to fulfill his role, but two-thirds of the minutes from that time remain deleted to this day.
Even during budget deliberations, which are extremely important as a parliamentary control function over the military,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Diet at the time was fulfilling its function of checking the military. A special account for extraordinary military expenses was established in 1937, and from 1942 to 1945, almost all military expenses were appropriated to this special account. When deliberating on this special account, no breakdown was provided in the budget documents, and deliberations were basically held in secret in both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House of Peers. The deliberation time was extremely short, and it hardly deserved to be called a deliberation.
Even as the war situation worsened and finances became tight, the Army and Navy fought fiercely over budgets, putting their own interests and reputations at stake.
In addition, we must not forget that from the late Taisho period to the early Showa period, many politicians, including three serving prime ministers, were assassinated by nationalists and young officers over a 15-year period. These were politicians who placed importance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ought to control the military through politics.
Needless to say, these incidents, including the May 15 Incident and the February 26 Incident, significantly hindered the environment in which civilians, including members of parliament and government officials, could freely discuss and act on military policy and budgets.
(Media issues)
Another issue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s the media issue.
In the 1920s, the media was critical of Japan's overseas expansion, and Ishibashi Tanzan, as a journalist, argued that Japan should abandon its colonies. However, around the time of the Manchurian Incident, the media's tone changed to one of active support for the war. This was because war reporting "sold," and newspapers saw a significant increase in circulation.
The Great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in 1929 severely damaged the Western economies, and high tariff policies were adopted to protect domestic economies, dealing a major blow to Japanese export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was the rise of nationalism, with the Nazis in Germany and the Fascist Party in Italy. Of the major countries, only the Soviet Union seemed to be developing, and within intellectual circles, a growing trend emerged that the era of liberalism, democracy, and capitalism, as well as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was over,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otalitarianism and national socialism could be accep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a part of the Kwantung Army launched the Manchurian Incident, occupying an area several times the size of mainland Japan in just a year and a half. This was widely reported in the newspapers, and many people were disillusioned, further fueling nationalism.
There was some sharp criticism of Japanese diplomacy, such as Yoshino Sakuzo's criticism of the military's actions during the Manchurian Incident and Kiyosawa Kiyoshi's harsh criticism of Matsuoka Yōsuke's withdrawal from the League of Nations. However, from around the autumn of 1937, stricter censorship of speech prevented criticism of policy, and only opinions actively supporting the war were conveyed to the public.
(Problems with information gathering and analysis)
We need to reexamine whether the government and Japan at the time correctly understoo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For example, while Japan was negotiating a military alliance with Germany targeting the Soviet Union, the German-Soviet Non-Aggression Pact was signed in August 1939, and the then cabinet of Prime Minister Hiranuma Kiichiro resigned, citing "a new and complex situation had arisen in Europe." Questions arose as to whether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tional and military situation had been collected, whether the information had been analyzed correctly, and whether it had been shared appropriately.
(의회 문제)
군대에 대한 통제 기능을 수행해야 했던 의회 역시 그 기능을 상실해 갔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중의원 의원 사이토 다카오(斎藤隆夫) 제명 사건입니다. 1940년 2월 2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사이토는 전쟁 확대를 비판하며 정부의 목표를 강력히 질의했습니다. 이른바 '반군연설'이었습니다. 육군은 이 연설을 군대에 대한 모욕이라며 강력히 반발했고, 사이토의 사퇴를 요구했습니다. 많은 의원들이 이에 동의하며, 찬성 296표, 반대 7표로 압도적인 표차로 사이토는 제명되었습니다. 이는 의원이 역할을 수행하려 한 희귀한 사례였으나, 당시 회의록의 3분의 2는 오늘날까지 삭제된 상태입니다.
예산 심의 과정에서도 당시 의회가 군대에 대한 견제 기능을 수행했다고 보기 어려웠습니다. 1937년 특별군사비 계정이 설립되었고, 1942년부터 1945년까지 거의 모든 군사비가 이 계정에 편성되었습니다. 이 특별 계정 심의 시 예산 문서에 세부 내역 없이 비밀리에 진행되었으며, 중의원과 귀족원 모두에서 심의 시간이 극히 짧아 '심의'라 부르기 어려웠습니다.
전쟁 상황이 악화되고 재정이 악화되자 육군과 해군은 예산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다투며 각 군의 이익과 체면을 내걸었습니다.
또한, 다이쇼 말기부터 쇼와 초기까지 약 15년간 국제 협력을 중시하고 정치로 군부를 통제하려 한 3명의 현직 총리를 포함해 많은 정치인들이 국가주의자와 청년 장교들에게 암살당한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5·15 사건과 2·26 사건 등 이러한 사건들은 의회 의원과 관료 등 민간인이 군사 정책과 예산을 자유롭게 토론하고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을 크게 저해했습니다.
(언론 문제)
간과해서는 안 될 또 다른 문제는 언론 문제입니다.
1920년대 언론은 일본의 해외 팽창을 비판했으며, 이시바시 단잔(石橋湛山) 기자는 일본이 식민지를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만주사변 무렵부터 언론은 전쟁을 적극 지지하는 톤으로 바뀌었습니다. 전쟁 보도가 '팔렸기' 때문입니다. 신문 발행 부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1929년 미국 대공황은 서구 경제를 심각하게 타격했고, 각국은 보호주의 정책을 채택하며 일본 수출에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이는 독일 나치즘과 이탈리아 파시즘의 부상으로 상징되는 국수주의 대두의 한 원인이었습니다. 주요 국가 중 소련만이 발전하는 것처럼 보였고, 지식인 사회에서는 자유주의·민주주의·자본주의 시대, 즉 미영 시대가 끝났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전체주의나 국가사회주의가 수용될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동군 일부가 만주사변을 일으켜 1년 반 만에 일본 본토의 수배가 넘는 지역을 점령했습니다. 이는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며 많은 국민의 환호를 받았고, 국수주의를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만주사변 당시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가 군의 행동을 비판하고, 기요사와 기요시(清沢洌)가 마쓰오카 요스케(松岡洋右)의 국제연맹 탈퇴를 맹비난한 것처럼 일부 날카로운 비판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1937년 가을부터 강화된 언론 검열로 정책 비판이 억제되었고, 전쟁을 적극 지지하는 의견만 대중에게 전달되었습니다.
(정보 수집 및 분석 문제)
당시 일본 정부와 사회가 국제 정세를 정확히 이해했는지 재검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일본이 소련을 겨냥해 독일과 군사 동맹을 협상하던 중, 1939년 8월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이 체결되자 히라누마 기이치(平沼騏一郞) 내각이 "유럽에 새로운 복잡한 상황이 발생했다"며 사임했습니다. 국제·군사 상황에 대한 충분한 정보 수집, 정확한 분석, 적절한 공유가 이뤄졌는지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일본이 급변하는 국제 정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며, 정보 체계의 근본적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일본의 외교·군사 전략에 치명적 오류를 초래했고, 전쟁으로의 돌입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3
(Lessons for today)
Civilian control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postwar Japan. The Constitution of Japan stipulates that the Prime Minister and other Ministers of State must be civilians. Furthermore, the Self-Defense Forces Act places the Self-Defense Forces under the command of the Prime Minister.
The Constitution of Japan clearly states that the Prime Minister is the head of the Cabinet and that the Cabinet is collectively responsible to the Diet, thereby institutionally ensuring the unity of the Cabinet.
Furthermore,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has been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overall coordination of diplomacy and security. The government's system for intelligence gathering and analysis has also been improved. These efforts will require further development in line with the times.
Institutional measures have been put in place in response to the bitter past experience of the military acting independently in the name of independent command authority, due to the lack of a mechanism for properly integrating politics and the military. However, these are merely systems, and they will have no meaning if they are not properly implemented.
Politicians must have the ability and insight to fully utilize the Self-Defense Forces. They must correctly understand the current system of civilian control and make constant efforts to operate it appropriately. They must have the pri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s politicians who will not succumb to irresponsible populism or be swayed by the majority.
The Self-Defense Forces are expected to actively explain and express their opinions to politicians from the perspective of an expert group regarding the international military situation surrounding our country, equipment, and unit operations.
Politics has a responsibility to overcome organizational silos and unify them. We must not allow organizations to divide and conflict, leading to a loss of sight of Japan's national interests. We must learn from history, when the Army and Navy clashed, each prioritizing its own organizational logic, and even within each organization, military command and military administration lacked coordination, leading to an inability to unify the nation's will, leading to the entire country being led into war.
Politics must always consider the interests and welfare of the entire nation and strive for rational decision-making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When responsibility is unclear and the situation reaches a deadlock, brave voices and bold solutions tend to be accepted, even if they are highly risky and unlikely to succeed. Navy Chief of the Naval General Staff Nagano Osami likened the outbreak of war to surgery, stating, "Though there are considerable concerns, the only way to cure this serious illness is to resolve with great determination to eliminate the national crisis." He also stated, "The government has decided that failure to fight would mean the nation's downfall, but fighting may also lead to its downfall. However, if the nation were to perish without fighting, it would truly be a nation that has lost its soul." Army Minister Tojo Hideki is also said to have urged Prime Minister Konoe Fumimaro, "People sometimes need to close their eyes and jump off the stage at Kiyomizu Temple." We must not repeat history, where mental and emotional judgment outweighs calm and rational judgment, leading to a misguided national course.
It is the role of parliament and the media to act as a check on the government to prevent it from making wrong decisions.
The Diet is expected to play the role of properly checking the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by exercising the powers granted to it by the Constitution. Politics must never pander to temporary public opinion, pursue popular policies, or be driven by party politics and self-preservation that harm the national interest.
We need a healthy space for free speech, including journalism with a sense of mission. During the last war, the media inflamed public opinion, leading the nation to a reckless war. We must not fall into excessive commercialism, and we must not tolerate narrow-minded nationalism, discrimination, or xenophobia.
We cannot tolerate any political abuse through violence or discriminatory rhetoric that threatens free speech, including the incident in which former Prime Minister Abe lost his precious life.
The foundation for all of this is an attitude of learning from history. What is most important is true liberalism, with the courage and honesty to face the past squarely, the tolerance to humbly listen to the positions of others, and a healthy and resilient democracy.
As Winston Churchill pointed out, democracy is never a perfect form of government: it is costly, it takes time, and it sometimes makes mistakes.
That is why we must always remain humble before history and take its lessons deeply to heart.
Maintaining a military presence is extremely important for self-defense and deterrence. I cannot be in a position to deny the theory of deterrence. In the current security environment, this is the reality when it comes to carrying out responsible security policies.
At the same time, democracy is fragile and can collapse in an instant if a country's unparalleled powerful military organizations go beyond democratic control. On the other hand, it is not impossible for civilian politicians to make poor decisions and plunge the country into war.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ivilian control and proper civil-military relations cannot be overemphasized. The government, parliament, military organizations, and the media must all be constantly aware of this.
In his anti-military speech, Representative Saito Takao argued that the history of the world is a history of war, and that war is not about justice winning, but about the strong conquering the weak.He argued that we must not ignore this and hide behind the noble name of a holy war, making mistakes in the nation's long-term plans for the next 100 years, and he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policies based on realism, for which he was expelled from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following year, at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Air Defense Law, the Army Ministry denied this, stating that allowing civilians to evacuate during air raids would undermine the will to continue the war.
Although both incidents occurred in the distant past, they more than convey the horror of the parliament's abandonment of its responsibilities, the rampant prevalence of spiritualism, and the disregard for human life and human rights. Without facing history squarely, we cannot pave the way for a bright future. The importance of learning from history must be reaffirmed, especially now, when Japan finds itself in the most severe and complex security environment since the end of the war.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memories of the war is decreasing year by year, and there is a risk that these memories will fade. I believe that, especially now, if each and every citizen, including the younger generation, actively thinks about the last war and what peace should be, and applies this knowledge to the future, our foundation as a peaceful nation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Together with the people of Japan, I will make every effort to ensure that such a tragedy is never repeated, based on the various lessons learned from the last war.
October 10, 2025
Prime Minister
Shigeru Ishiba
오늘날의 교훈
전후 일본은 문민 통제를 제도화했습니다. 일본국 헌법은 총리와 국무대신이 반드시 민간인일 것을 명시하며, 자위대법(自衛隊法)은 자위대를 총리의 지휘 하에 두도록 규정합니다.
또한 헌법은 총리를 내각 수반으로, 내각이 국회에 대해 연대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내각의 통합을 제도적으로 보장합니다. 더 나아가 외교와 안보의 전반적 조정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설립했으며, 정보 수집·분석 체계도 개선해왔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시대에 맞춰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과제입니다.
과거 군부가 독립 통수권이라는 명목으로 정치와 분리되었던 뼈아픈 경험을 반성하며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으나, 이는 단지 시스템일 뿐입니다.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정치인은 자위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과 통찰력을 갖춰야 합니다. 문민 통제 체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운영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며, 무책임한 포퓰리즘이나 여론에 휩쓸리지 않는 정치인으로서의 긍지와 책임감을 가져야 합니다.
자위대는 국제 군사 정세, 장비, 부대 운용 등에 관한 전문가 집단으로서 정치인에게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설명해야 합니다.
정치권은 조직 간 장벽을 극복하고 통합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조직이 분열하고 갈등하며 국가 이익을 망각하는 상황을 용납해서는 안 됩니다. 과거 육군과 해군이 각자의 조직 논리를 우선시하며 충돌하고, 군령(軍令)과 군정(軍政) 간에도 협조가 부재해 국가 의지를 통합하지 못한 채 전쟁 속으로 빠져든 역사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합니다.
정치인은 항상 국민 전체의 이익과 복지를 고려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합리적 결정을 추구해야 합니다. 책임이 불분명하고 교착 상태에 빠질 때, 높은 위험을 수반하고 성공 가능성이 낮은 선택이라도 과감한 목소리와 해결책이 받아들여지기 쉽습니다. 해군 군령부장 나가노 오사미는 전쟁 발발을 수술에 비유하며 "우려가 크지만 국가 위기를 제거하기 위해 단호히 결단하는 것만이 이 중병을 치료할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정부가 싸우지 않으면 나라가 망할 것이라 판단했으나, 싸운다 해도 망할 수 있다. 그러나 싸우지 않고 멸망한다면 영혼이 없는 나라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육군장관 도조 히데키도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에게 "사람은 때로 눈을 감고 기요미즈데라 절에서 뛰어내려야 할 때도 있다"고 촉구했다고 전해집니다. 우리는 감정적 판단이 냉철한 이성을 압도하며 잘못된 국가 방향을 초래한 역사를 되풀이해선 안 됩니다.
정부와 의회의 잘못된 결정을 견제하는 것은 의회와 언론의 역할입니다.
국회는 헌법이 부여한 권한을 행사해 정부 활동을 적절히 감시해야 합니다. 정치권은 일시적인 여론에 영합하거나 인기 영합 정책을 추구해선 안 되며, 당리당략과 자기보존에 매몰되어 국가 이익을 해쳐서는 안 됩니다.
자유로운 언론 공간이 보장되어야 하며, 사명감을 가진 저널리즘이 필요합니다. 지난 전쟁 당시 언론이 여론을 선동하며 무모한 전쟁으로 이끈 과오를 기억해야 합니다. 과도한 상업주의나 편협한 국수주의, 차별, 외국인 혐오를 용납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아베 전 총리의 비극적 사례처럼 폭력을 통한 정치적 남용이나 차별적 언설을 통한 언론 자유 위협을 용납할 수 없습니다.
이 모든 것의 기반은 역사를 배우는 태도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과거를 직시할 용기와 정직성, 타인의 입장을 겸허히 듣는 관용, 건강하고 탄력적인 민주주의입니다. 처칠이 지적했듯 민주주의는 결코 완벽한 체제가 아닙니다. 비용이 들고 시간이 소요되며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역사 앞에 겸손해야 하며, 그 교훈을 깊이 새겨야 합니다. 자위를 위한 군사적 존재와 억지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나는 억지 이론을 부정할 수 없으며, 현재 안보 환경에서 책임 있는 정책을 수행하는 것은 현실입니다.
동시에 민주주의는 취약합니다. 압도적인 군사력이 민주적 통제를 벗어나면 순식간에 붕괴될 수 있습니다. 반면 민간 정치인이 잘못된 판단으로 국가를 전쟁으로 몰아넣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문민 통제와 적절한 민군 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정부, 의회, 군 조직, 언론 모두 이를 끊임없이 인식해야 합니다.
사이토 다카오 의원은 반군연설에서 "세계사는 전쟁의 역사이며, 전쟁은 정의가 이기는 것이 아니라 강자가 약자를 정복하는 것"이라며 "이를 외면하고 성전(聖戰)이라는 고귀한 이름 뒤에 숨어 100년 후의 국가 계획을 그르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현실주의 기반 정책의 중요성을 역설하다 제명되었습니다.
이듬해 중의원 방공법 위원회에서는 육군성이 "공습 시 민간인 대피를 허용하면 전쟁 지속 의지가 약화된다"며 이를 부인했습니다. 이 두 사건은 먼 과거의 일이지만, 의회의 책임 방기, 정신주의의 만연, 인간 생명과 인권에 대한 무시가 초래한 공포를 생생히 전달합니다. 역사를 직시하지 않고서는 밝은 미래를 열 수 없습니다. 전쟁 종결 80년이 되는 지금, 특히 가장 심각하고 복잡한 안보 환경에 직면한 일본은 역사 학습의 중요성을 재확립해야 합니다.
전쟁을 기억하는 이들이 점점 줄어들며 그 기억이 희미해질 위험이 있습니다. 나는 특히 지금, 젊은 세대를 포함한 모든 시민이 지난 전쟁과 평화의 의미를 깊이 성찰하고 이를 미래에 적용한다면, 평화 국가로서의 기반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 믿습니다.
일본 국민과 함께, 지난 전쟁에서 얻은 다양한 교훈을 바탕으로 이러한 비극이 결코 되풀이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5년 10월 10일
총리대신
이시바 시게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