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타이쿤
- 조회 수 6
철학의 역할은 우리가 이미 아는 것을, 우리에게 깨달음을 주는 방식으로 말해주는 것이다
The role of philosophy is to tell us what we already know, in a way that we find illuminating.
45. 철학의 역할:
"The role of philosophy is to tell us what we already know, in a way that we find illuminating."
(철학의 역할은 우리가 이미 아는 것을, 우리에게 깨달음을 주는 방식으로 말해주는 것이다.) - 소크라테스적 전통
이 문장은 '철학(Philosophy)'의 근본적인 목적과 방법을 소크라테스적 전통에 기반하여 정의하며, 철학이 단순히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학문이 아님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집니다.
1) 문장의 핵심 의미와 소크라테스적 전통
이 문장은 소크라테스가 지향했던 **'산파술(産婆術, Maieutics)'**과 깊이 연결됩니다.
"우리가 이미 아는 것을":
인간은 이미 자신의 내면에 진리나 중요한 도덕적 통찰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전제입니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고 했듯이, 진리는 외부가 아닌 내면 탐구를 통해 발견된다고 보았습니다.
"우리에게 깨달음을 주는 방식으로 말해주는 것":
철학자는 새로운 정보를 주입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대신, 질문과 대화(변증법)를 통해 상대방이 스스로 그 내면의 진리를 깨닫고 인식하도록 돕는 **'산파'**의 역할을 합니다.
이는 철학이 기존의 지식을 단순히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식의 본질을 꿰뚫어보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뜻입니다.
2) 이 문장의 '의의' (철학적/교육적 중요성)
① 철학의 실용적 가치 정의
이 문장은 철학의 역할을 추상적인 이론 구축에서 실제적인 삶의 성찰로 끌어내립니다.
철학은 우리가 일상에서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왔거나, 혹은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었던 '가치, 도덕, 정의, 행복' 등의 개념을 멈춰 서서 바라보게 만듭니다.
가령, **"우리는 행복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 알지만, 철학은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질문하게 하여 그 의미를 더 깊고 선명하게 만듭니다 (Illuminating). 이는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명료함을 제공합니다.
② 자기 인식과 주체성의 강조
이 정의는 지식을 받아들이는 주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진리는 수동적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질문과 성찰을 통해 스스로 '발견하고 깨닫는' 것입니다.
이로써 철학은 개인에게 지적인 겸손함과 끊임없는 질문의 자세를 요구하며, 진리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을 경계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주체가 되도록 이끌어줍니다.
결론적으로, 이 문장은 철학이 인간 내면의 잠재된 지혜를 일깨우고, 우리가 사는 세상의 복잡한 이치를 단순하고 명료한 깨달음으로 전환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지적 활동임을 아름답게 정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