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Society prospers through the ​'invisible hand'​, where everyone benefits."

사회는 모두가 이익을 얻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번영한다

 

 

43. 사회적 협력:

 

"Social cooperation is a process of mutual advantage."

(사회적 협력은 상호 이익의 과정이다.)

 

1) 문장의 의미와 강조점

 

이 문장은 '사회적 협력'의 정의와 목적을 명확히 합니다.

 

사회적 협력:

 

단순히 친목을 도모하거나 일방적으로 돕는 행위가 아닙니다. 이 문맥에서는 시장에서의 교환, 분업, 계약 등 경제적/사회적 상호작용 전반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입니다.

 

상호 이익 (Mutual Advantage):

 

협력의 동기와 결과가 어느 한쪽의 희생이 아니라, 참여하는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 내가 남을 돕는 것은 근본적으로 나에게도 더 큰 이익이 돌아오기 때문이라는 현실적인 관점입니다.

 

2. 이 문장의 '의의' (사상적 중요성)

 

이 문장은 **"사회는 왜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특정 사상의 대답을 제시하며, 다른 사회관에 대비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이타심이 아닌 '합리적 이기심' 기반의 사회관

 

이 문장은 사회 협력의 동기를 **'이타심'**이나 **'도덕적 의무'**에 두는 관점과 대조됩니다.

 

협력의 엔진은 개인의 합리적 이기심입니다.

 

내가 농부에게서 쌀을 사고 대가로 옷을 파는 것은 농부를 사랑해서가 아니라, 그것이 나에게 가장 효율적인 이득이 되기 때문입니다.

 

애덤 스미스가 **"우리가 저녁 식사를 할 수 있는 것은 푸줏간 주인, 양조업자, 제빵사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자기 이익 추구 때문이다"**라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사회는 개인들이 각자의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모두가 이익을 얻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번영한다는 철학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제로섬 게임'이 아닌 '포지티브섬 게임'으로서의 사회

 

이 문장은 사회를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으로 보는 시각, "누군가의 이득은 반드시 누군가의 손해다"라는 인식을 거부합니다.

 

사회적 협력은 파이를 뺏고 빼앗는 것이 아니라, 분업과 교환을 통해 **파이 자체를 키우는 과정(Positive-Sum Game)**입니다.

 

내가 당신과 거래하여 당신이 5만큼 이득을 보고, 내가 3만큼 이득을 본다면, 사회 전체의 이익은 8만큼 증가한 것입니다.

 

이 문장은 자유 시장이 이러한 상호 이익을 극대화하는 가장 효율적인 메커니즘임을 옹호하는 논리가 됩니다.

 

강제적 재분배에 대한 비판적 기초

 

이러한 관점은 강제적인 사회 계획이나 재분배에 대한 비판적 토대가 됩니다.

 

사회적 협력이 강제가 아닌 자발적인 상호 이익 추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국가가 개인의 자발적 의사에 반하여 재산이나 노동을 강제로 징발하는 행위는 '협력'의 본질을 훼손하고, 결국 협력의 동기를 약화시켜 사회 전체의 이익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됩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