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법 앞의 평등'(모두에게 동일한 규칙 적용)'결과의 평등'(모두를 똑같은 상태로 만듦)은 서로 양립할 수 없다

 

​"Equality before the law" (applying the same rules to all) and "equality of outcomes" (rendering everyone equal in condition) are mutually incompatible.​

 

Key Translation Notes:

  1. ​"법 앞의 평등"​ → "Equality before the law" (standard legal/political term).
  2. ​"모두에게 동일한 규칙 적용"​ → "applying the same rules to all" (parenthetical clarification).
  3. ​"결과의 평등"​ → "equality of outcomes" (widely recognized concept in political philosophy).
  4. ​"모두를 똑같은 상태로 만듦"​ → "rendering everyone equal in condition" (captures the intent without literal redundancy).
  5. ​"양립할 수 없다"​ → "are mutually incompatible" (stronger and more precise than "cannot coexist").

This translation maintains conceptual clarity while reflecting the philosophical contrast often discussed in debates about justice and governance.

 

영 어:

"From the fact that people are very different, it follows that, if we treat them equally, the result must be inequality in their actual position, and that the only way to place them in an equal position would be to treat them differently." (The Constitution of Liberty)

한 글:

 

"사람들이 매우 다르다는 사실로부터, 만약 우리가 그들을 동등하게 대우한다면 그 결과는 그들의 실제적 위치에서의 불평등이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리고 그들을 평등한 위치에 놓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들을 다르게 대우하는 것일 것이다." (자유의 헌법)

 

문장의 의미:

 

'법 앞의 평등'(모두에게 동일한 규칙 적용)'결과의 평등'(모두를 똑같은 상태로 만듦)은 서로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 문장입니다. 재능과 노력이 다른 사람들을 똑같이 대우하면 결과는 당연히 불평등해집니다.

 

결과를 똑같이 만들려면, 더 잘난 사람을 억누르고 못난 사람을 밀어주는 '차별적인 대우'를 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현대적 해석 및 의의:

 

이는 '기회의 평등''결과의 평등'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를 설명하는 가장 명쾌한 논리입니다. 하이에크는 전자가 자유 사회의 원칙인 반면, 후자는 필연적으로 자의적인 차별과 강제를 낳는다고 보았습니다.

 

사상적 맥락:

 

하이에크는 '결과의 평등'을 요구하는 '사회 정의'라는 개념이, 모든 사람을 똑같은 규칙으로 대하는 '법의 지배'라는 진정한 정의의 원칙을 파괴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