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https://youtu.be/3Ea7p5pg6OU

 

본 출처는 존 레녹스가 악의 기원과 고통의 문제에 대해 탐구하는 강연의 일부를 담고 있으며, 이는 도덕적 악과 자연적 악의 두 가지 근원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합니다. 강연자는 에피쿠로스와 데이비드 흄의 신의 선의와 전능함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9/11 테러와 같은 사건을 예시로 들어 무신론적 반응을 논파합니다. 또한, 선과 악에 대한 보편적인 개념이 초월적인 표준 없이는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들어 무신론자들의 견해에 반박하고, 인간의 자유 의지와 사랑의 능력을 창조하기 위해 하나님이 위험을 감수했음을 주장합니다. 궁극적으로 레녹스는 기독교의 부활과 내세 개념이 고통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며, 인간이 복잡한 삶 속에서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고 강조합니다

 

now you have asked me to speak to you on why evil the nature of evil and suffering evil and suffering come from two logically distinct sources they are often intertwined the human Source the problem of moral evil the awful things people do to one another and then there is natural evil the natural disasters and diseases earthquakes tsunamis and cancer the problem of pain and the Heart of the question goes back many centuries to epicurus and David Hume writing said epicurus's old questions are yet unanswered is God willing to prevent a evil but not able then is he impotent is he able but not willing then is he malevolent is he both able and willing whence then this evil and some people say that events like 911 show us that there is no God and early this morning I walked in your beautiful Hero's garden and it brought it into my mind a reflection that I was at Ground Zero in 911 last year and I listen to the entire service the reading of the names and I was deeply moved by something very striking I heard many assertions of faith in God and his love and the hope it gave to the loved ones left behind and it did so vivid where some of the readers faith that they spoke about their relatives not in the past tense but directly addressed them as if they were still alive one of the most moving was Dad you're my hero happy birthday I didn't hear one atheistic reaction on 9911 I found that immensely striking now of course 911 gets eclipsed for many of us by more immediate suffering or pain you may be suffering or be close to someone who's suffering from a terminal disease that has struck without warning I can remember my reaction years ago when my brother was rushed to hospital after a terrorist bomb had exploded in his face and his life hung in the balance for many weeks there are no easy answers ladies and gentlemen since this question involves two distinct perspectives cancer looks very different to the young mother who has just been told she's three months to live it looks different to her from what it looks to the young colleges who's treating her we can observe suffering we can experience suffering and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it's very interesting that the problem of evil seems to be an essentially Western phenomenon in those countries where they live much closer to suffering the problem hardly ever arises which is just a remarkable fact to factor in they're hard questions because they go very deep I never forget meeting two brilliant Israeli scientists and we were chatting and they discovered I believed in God and they said look we don't believe in God and I said why don't you and they said we're not going to tell you because we don't want to upset your faith well I said that's very kind of you but if my faith is upset by that then it's not worth believing in and in the end they told me they said they read out loud to one another and they were reading a book by the Israeli Nobel Prize winner bashit Nobel Prize for literature and in the book he described how some Jewish women and children were buried alive in Russia and they said to me the light went out I can forgive God anything but not that now let me make clear ladies and gentlemen my heart goes out to people like that many of my colleagues in Oxford are atheists in part because of this kind of thing I have stood person in aitz many times and I've wept every time it goes very deep and there are no easy simplistic answers but nevertheless I think there is a way into something that can give us real hope I understand the atheist reaction and yet I have a problem with it as I observe it from outside if there is no God where do the concepts of good and evil that we all possess come from because outrage against the evils in the world presupposes a standard of good that's objectively real and independent of us but if there is no Transcendence no God then how can there be such an objective standard of good and if there's no moral evil or good in any case the concept of Ethics disappear and moral outrage is absurd Friedrich nich saw this very clearly and he pointed out that the death of God would mean the death of compassion kindness and forgiveness I quote when one gives up Christian belief one therefore deprives oneself of the right to Christian morality Christian morality is a command its origin is Transcendental it possesses truth only if God is truth it stands our FS with belief in God why morality at all when life nature history are non-moral and Richard Dawkins interestingly agrees with him he writes the universe we observe is precisely the properties we should expect if there is at the bottom no design no purpose no evil and no good Nothing But Blind pitiless indifference DNA neither knows nor cares DNA just is and we dance to its music ladies and gentlemen that's correct the terrorists who flew the Jets into the Twin tows were simply dancing to the music of their DNA and therefore you cannot blame him now notice exactly what Dawkin says I've debated it with him he's never retracted it there is no good there is no evil that is the deconstruction of all morality and all moral Concepts and it seems to me he stands with nature here and it's The Logical outcome of his worldview ironically though if he believes there's no good and no evil then what what does he mean by saying 911 radicalized him as something so evil that it made him determine to get rid of all religion there's a double think of course and there's a reason for the double think it's an obvious one it's the fact that we're hardwired as moral beings whether we believe in God or not and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at makes complete sense because one of the central claims is that that human beings are unique made in the image of God they're moral beings and so no matter what world view we espouse we discover that we're moral beings and that's what we're faced with which is why Dawkin philosophically rejects good and evil but actually is outraged by what he sees to be morally false not only that ladies and gentlemen I dare to say that there are absolute moral standards s Michael ruse who's an atheist says there are some things that are just wrong torturing babies is just wrong ladies and gentlemen and JL Macky was an atheist philosopher at Oxford said this ethics constitute so odd a cluster of qualities and relations that they are most unlikely to have Arisen in the ordinary course of events without an all powerful God to create them if then there are such moral values they make the existence of a God more probable than it would have been without them thus we have after all a defensible argument from the existence of moral values to the existence of God and so we find ourselves to be moral beings subscribing to certain absolute standards of Good and Evil those standards their existence is consistent with the existence of God and and very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him so in one sense it's the existence of God that gives rise to the problem of evil and that is why so many people fail and we can understand it can't we why couldn't God if there is a God have created us without the capacity for moral evil could he not have foreen that things would go wrong and avoided it and of course he could of course he could he could have made us aom are robots but then we would have been less than human robots programmed what we wanted to do would be incapable of certain things I have a wife I've been married 45 years I'm glad she's not a robot if I arrived at home and found the iPad in front of my robotic wife and it had instructions on it kiss and I pressed this button and I got a kiss it wouldn't be very exciting you know and you laugh because you see the difference you see the difference deep down you wouldn't want to be like that and the interesting thing we find ourselves wishing for God to do something that would ultimately mean we were wishing ourselves out of existence you couldn't have love if you can't have hate you see and that's the fascinating thing that God has created a world of people In His Image who are capable of the richness of love and the very odd thing is that a lot of evil has occurred on the way to give you your existence hasn't it maybe your mom and dad or they wouldn't you're far too young met in a bomb shelter during World War II and it was the evil of the bombing that led to your existence life is exceedingly complex and sophisticated isn't it and here we find ourselves in a world where we have these marvelous choices the existential writer Jean Paul satra said the man who wants to be loved does not want to possess an automatan and if we want to humiliate him we need only try to persuade him that the beloved's passion is the result of a psychological determinism so what I'm arguing for is the very existence of the freedom to choose and therefore the capacity for love is inevitable if you want to create people like that now we find ourselves like that and therefore God took a risk of course he took a risk I think there are some parents here I have a parent I'm a grandparent I took a risk in allowing my children to be I knew that they could grow up to reject me I've never met a parent yet yet that gave that as a reason for not having a child because we all hope it doesn't always turn out that way of course that children will grow up to love them so like God we create creatures risky in its effort and you know we can argue till Kingdom Come and we have done and it's very interesting what a good god might do could do should do and so on we go round and round in circles and we never solve it so I ask a different question granted ladies and gentlemen that this experience of human life is full of ragged ends we see some beauty it's a bit like Coventry Cathedral you go into it you see that a bomb is hit it but you can see traces of beauty and we ask ourselves the question is there anywhere any evidence in the universe that you can trust God with the Ragged ends that's the key question we never solve them all but is it possible to trust God with them and this brings me to the heart of it Christianity is unique in having at its Center an absolutely stupendous concept of God becoming human this God said nature who is on a cross but let me take it seriously ladies and gentlemen come with me for a moment if this is really God what's God doing on a cross I'll tell you what it tells me at least it tells me that God has not remained distant from Human suffering but has himself become part of it and he didn't remain on the cross he was taken down he was buried and he rose again and of course this is the key point because the problem of evil and suffering looks very different if you live within a world view that's got a resurrection and a life after death I wouldn't for a moment dream of standing here if I didn't believe that that Jesus Christ has broken the death barrier and there's evidence for it and that makes the universe look totally different it's utterly unique ladies and gentlemen Christianity competes with no other religion for the simple reason that you find this nowhere else and it seems to me that this is a way into the question and I have seen its effect with many people trying to cope with suffering I arrived in Christ Church New Zealand two days after the earthquake and I had to meet people that had lost their wives and their husbands just like that and it was wonderful to see them begin to respond as I tried to explain that there were no simple answers but here's a possible way in and a little note was left for me after one such lecture the lady was too afraid to stay she' lost her husband but on the note it said this this is the first Ray of Hope I now see thank you ladies and gentlemen

 

이제 여러분은 왜 악이 존재하는지, 악의 본질과 고통에 대해 이야기해 달라고 요청하셨습니다. 악과 고통은 두 가지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근원에서 비롯되며 종종 서로 얽혀 있습니다. 하나는 인간적 근원으로, 도덕적 악의 문제, 즉 사람들이 서로에게 행하는 끔찍한 일들입니다. 다른 하나는 자연적인 악으로, 자연재해와 질병, 지진, 쓰나미, 암과 같은 것들입니다.

고통의 문제, 그리고 이 질문의 핵심은 수세기 전 에피쿠로스와 데이비드 흄에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흄은 이렇게 썼습니다. 에피쿠로스의 오래된 질문은 여전히 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신이 악을 막을 의지는 있지만 능력이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무능한 것인가? 신이 능력이 있지만 의지가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악의적인 것인가? 신이 능력이 있고 의지도 있다면, 이 악은 어디서 오는가?

일부 사람들은 9/11과 같은 사건들이 신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합니다. 오늘 아침 일찍 저는 여러분의 아름다운 영웅의 정원을 걸었는데, 작년에 제가 9/11 사태의 그라운드 제로에 있었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저는 이름 전체를 낭독하는 그 예배를 들었고, 매우 인상적인 무언가에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저는 신과 그의 사랑에 대한 많은 믿음의 주장과 그것이 남겨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준 희망을 들었습니다. 일부 낭독자들의 믿음은 너무나 생생해서 그들이 친척들에 대해 과거형이 아닌, 마치 그들이 여전히 살아있는 것처럼 직접 말을 걸었습니다. 가장 감동적인 말 중 하나는 **"아빠, 당신은 나의 영웅입니다. 생일 축하해요"**였습니다. 저는 9/11에서 단 한 건의 무신론적 반응도 듣지 못했는데, 그것이 저에게는 엄청나게 인상적이었습니다.

물론 9/11은 우리 중 많은 사람들에게 더 직접적인 고통이나 아픔에 의해 가려집니다. 여러분은 고통을 겪고 있거나 예고 없이 닥친 말기 질환으로 고통받는 누군가와 가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몇 년 전 제 동생이 테러범의 폭탄이 얼굴 앞에서 폭발한 후 병원으로 급히 이송되었을 때를 기억합니다. 그의 생명은 여러 주 동안 위태로웠습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이 질문은 두 가지 뚜렷한 관점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쉬운 해답은 없습니다. 암은 방금 3개월밖에 살 수 없다는 말을 들은 젊은 어머니에게는 매우 다르게 보입니다. 그녀를 치료하는 젊은 의대생들에게 보이는 것과는 그녀에게 다르게 보입니다.

우리는 고통을 관찰할 수 있고 고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악의 문제는 본질적으로 서구적인 현상인 것 같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고통에 훨씬 더 가까이 사는 나라들에서는 이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데, 이는 고려해야 할 놀라운 사실입니다. 이 질문들은 매우 깊기 때문에 어려운 질문들입니다.

저는 두 명의 뛰어난 이스라엘 과학자를 만났던 것을 잊지 못합니다. 우리는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들은 제가 신을 믿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우리는 신을 믿지 않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왜 믿지 않습니까?"라고 묻자 그들은 "당신의 믿음을 상하게 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말하지 않겠습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저는 "친절하시군요. 하지만 그것 때문에 제 믿음이 상한다면 믿을 가치가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결국 그들은 저에게 말했는데, 그들은 이스라엘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바쉬트(bashit)의 책을 서로에게 소리 내어 읽고 있었다고 했습니다. 그 책에서 그는 일부 유대인 여성과 아이들이 러시아에 산 채로 묻혔던 것을 묘사했습니다. 그들은 저에게 "빛이 꺼졌습니다. 저는 신의 어떤 것도 용서할 수 있지만, 그것만은 용서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분명히 해두겠습니다. 저는 그런 사람들에게 마음이 아픕니다. 옥스퍼드에 있는 제 동료들 중 다수는 부분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일 때문에 무신론자입니다. 저는 아우슈비츠에 여러 번 가봤고 갈 때마다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것은 매우 깊이 파고들며 쉬운 단순한 대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우리에게 진정한 희망을 줄 수 있는 무언가로 나아갈 방법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무신론자의 반응을 이해하지만, 밖에서 그것을 관찰할 때 저는 그것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신이 없다면,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선과 악의 개념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 세상의 악에 대한 분노는 우리와 독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선의 기준을 전제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초월성, 즉 신이 없다면 어떻게 그러한 객관적인 선의 기준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어쨌든 도덕적 악이나 선이 없다면 윤리의 개념은 사라지고 도덕적 분노는 터무니없는 것이 됩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이것을 매우 분명하게 보았고, 신의 죽음은 연민, 친절, 용서의 죽음을 의미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제가 인용하겠습니다.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면 기독교 도덕에 대한 권리를 스스로 박탈하는 것입니다. 기독교 도덕은 명령이며, 그 기원은 초월적입니다. 그것은 신이 진리일 때만 진실을 소유합니다. 그것은 신에 대한 믿음과 함께 존재하거나 무너집니다 (stands or falls). 삶, 자연, 역사가 비도덕적인데 왜 도덕이 필요합니까?

그리고 흥미롭게도 리처드 도킨스도 그에게 동의합니다. 그는 우리가 관찰하는 우주는 밑바탕에 설계도, 목적도, 악도, 선도 없고, 오직 맹목적이고 무자비한 무관심만이 있다면 우리가 기대해야 할 바로 그 속성들을 가지고 있다고 썼습니다. DNA는 알지도 못하고 신경 쓰지도 않습니다. DNA는 그저 존재할 뿐이며, 우리는 그 음악에 맞춰 춤을 춥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맞습니다. 쌍둥이 빌딩에 제트기를 몰고 들어간 테러리스트들은 그저 그들의 DNA의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있었을 뿐이며, 그러므로 당신은 그를 비난할 수 없습니다.

이제 도킨스가 정확히 뭐라고 말하는지 주목하십시오. 저는 그와 이 문제에 대해 토론했지만 그는 결코 철회하지 않았습니다. 선도 없고 악도 없다는 것, 이것은 모든 도덕과 모든 도덕적 개념의 해체입니다. 제게는 그가 여기서 자연과 함께 서 있으며, 그것이 그의 세계관의 논리적 결과인 것처럼 보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만약 그가 선도 악도 없다고 믿는다면, 9/11이 그를 모든 종교를 없애기로 결심하게 만든 너무나 악한 일이었다고 말함으로써 그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물론 **이중 사고(double think)**가 있으며, 이 이중 사고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신을 믿든 안 믿든 도덕적인 존재로 타고났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볼 때 이것은 완전히 이치에 맞는데, 왜냐하면 핵심 주장 중 하나는 인간이 신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독특하고 도덕적인 존재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세계관을 지지하든 우리는 자신이 도덕적인 존재임을 발견하며, 이것이 우리가 직면하는 현실입니다. 이것이 바로 도킨스가 철학적으로 선과 악을 거부하면서도 실제로는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보는 것에 분노하는 이유입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그뿐만 아니라 저는 감히 절대적인 도덕적 기준이 있다고 말합니다. 무신론자인 **마이클 루스(Michael Ruse)**는 어떤 것들은 그냥 잘못된 것이라고 말합니다. 아기를 고문하는 것은 그냥 잘못된 것입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그리고 옥스퍼드의 무신론자 철학자였던 **J.L. 매키(J.L. Macky)**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윤리는 너무나 이상한 자질과 관계들의 집합체라서 전능하신 신이 그들을 창조하지 않았다면 일반적인 사건의 과정에서는 발생했을 가능성이 가장 낮습니다. 그렇다면 그러한 도덕적 가치들이 존재한다면, 그것들은 신이 없었을 경우보다 신의 존재를 더 가능성 있게 만듭니다. 따라서 결국 우리는 도덕적 가치의 존재로부터 신의 존재로 나아가는 방어 가능한 논증을 갖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스스로 선과 악의 특정한 절대적 기준을 따르는 도덕적 존재임을 발견합니다. 그러한 기준들의 존재는 신의 존재와 일치하며, 그분 없이는 설명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어떤 의미에서는 악의 문제(problem of evil)를 야기하는 것이 바로 신의 존재이며, 이것이 너무나 많은 사람이 실패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만약 신이 있다면, 왜 신은 도덕적 악을 행할 능력이 없는 우리를 창조하지 못했을까요? 그분은 일이 잘못될 것을 미리 알고 그것을 피할 수 없었을까요? 물론 그럴 수 있었겠죠, 물론 그럴 수 있었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로봇으로 만들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프로그램된 로봇으로, 인간 이하의 존재가 되어 특정한 것들을 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저에게는 45년 동안 결혼 생활을 한 아내가 있습니다. 저는 그녀가 로봇이 아니라는 것이 기쁩니다. 만약 제가 집에 도착해서 로봇 아내 앞에 아이패드가 놓여 있고 거기에 '키스'라는 지시가 있어 이 버튼을 눌러 키스를 받는다면, 그것은 그리 흥미롭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웃는데, 왜냐하면 여러분이 그 차이를 알기 때문입니다. 마음속 깊은 곳에서 여러분은 그렇게 되기를 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흥미로운 점은 우리가 궁극적으로 우리 자신이 존재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과 같은 일을 신이 해 주기를 바란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증오가 없다면 사랑을 가질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신이 자신의 형상대로 사랑의 풍요로움을 누릴 수 있는 사람들의 세상을 창조했다는 매혹적인 사실입니다. 그리고 매우 이상한 점은 여러분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는 길에 많은 악이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아마도 여러분의 어머니와 아버지는 (물론 여러분은 너무 젊습니다만) 제2차 세계대전 중 폭탄 대피소에서 만났을 수도 있고, 폭격의 악이 여러분의 존재로 이어졌을 수도 있습니다. 삶은 극도로 복잡하고 정교합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이러한 놀라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실존주의 작가 장 폴 사르트르는 "사랑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자동인형을 소유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그를 모욕하고 싶다면, 사랑하는 사람의 열정이 심리적 결정론의 결과라고 그를 설득하려고 노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따라서 제가 주장하는 것은 선택의 자유 자체가 존재한다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러한 사람들을 창조하기를 원한다면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은 필연적이라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그런 존재로 우리 자신을 발견하고, 그러므로 신은 위험을 감수하신 것입니다. 물론 그분은 위험을 감수하셨습니다.

여기에 부모님들이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부모이고 조부모입니다. 저는 제 자녀들이 존재하도록 허락하는 데 위험을 감수했습니다. 저는 그들이 자라서 저를 거부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자녀를 갖지 않을 이유로 그것을 제시한 부모를 아직 만나보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모두 자녀가 우리를 사랑하게 될 것이라고 바라기 때문이며, 물론 항상 그렇게 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신처럼 우리도 그 노력에 있어 위험을 감수하는 피조물을 만듭니다.

그리고 우리는 영원히 논쟁할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해왔습니다. 선한 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등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돌고 돌며 그것을 결코 해결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저는 다른 질문을 합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인간 삶의 이러한 경험이 너덜너덜한 끝부분(ragged ends)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우리는 약간의 아름다움을 봅니다. 코번트리 대성당과 같습니다. 여러분이 들어가면 폭탄이 맞은 것을 보지만 아름다움의 흔적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이 우주 어디에라도 신이 그 너덜너덜한 끝부분들을 맡길 수 있다는 증거가 있을까요? 그것이 핵심 질문입니다. 우리는 그것들을 모두 해결할 수는 없지만, 신께 그것들을 맡기는 것이 가능할까요?

그리고 이것이 저를 이 문제의 핵심으로 이끌어줍니다. 기독교는 그 중심에 신이 인간이 되었다는 절대적으로 경이로운 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이 신은 십자가 위에 있는 자연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신사 숙녀 여러분, 잠깐 저와 함께 이 문제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봅시다. 만약 이분이 정말 신이라면, 신이 십자가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적어도 이것이 저에게 말해주는 것은 신이 인간의 고통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스스로 그 일부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분은 십자가에 머물지 않았습니다. 그는 내려졌고, 묻혔고,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물론 이것이 핵심입니다. 왜냐하면 부활과 사후 세계를 가진 세계관 속에서 산다면 악과 고통의 문제는 매우 다르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죽음의 장벽을 허물었다고 믿지 않는다면 저는 이곳에 서는 것을 잠시도 꿈꾸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증거가 있으며, 그것이 우주를 완전히 다르게 보이게 만듭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이것은 다른 어떤 곳에서도 찾을 수 없다는 단순한 이유로 기독교는 다른 어떤 종교와도 경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그 질문에 대한 하나의 길인 것 같습니다. 저는 고통에 대처하려는 많은 사람들에게서 그것의 영향을 보았습니다. 저는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 지진 발생 이틀 후에 도착했고, 아내와 남편을 그렇게 잃은 사람들을 만나야 했습니다. 간단한 해답은 없지만, 여기에 가능한 길이 있다고 설명하려고 했을 때 그들이 반응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는 것은 놀라웠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강연 중 하나가 끝난 후 저에게 작은 쪽지가 남겨졌습니다. 그 여성은 남편을 잃었지만 너무 두려워서 머물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쪽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습니다. "이것이 제가 지금 보는 첫 번째 희망의 빛입니다. 감사합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