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타이쿤
  • 조회 수 32

https://www.youtube.com/watch?v=CklAhwO6QuI

 

https://www.youtube.com/watch?v=Y7ZATMal_XQ

 

https://youtu.be/LE-EeZDJOuk

 

이 소스는 유튜브 채널 "Socrates in the City"에 업로드된 "Why Math Points to God | Professor John Lennox"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존 레녹스 교수는 수학자이자 과학자로서, 과학과 신앙의 관계에 대해 논하며 수학이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신의 존재를 가리킨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물질주의적 세계관이 인간 이성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반면,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과학적 탐구의 역사적 동력이었으며, 수학의 합리적인 유효성을 설명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합니다. 특히 그는 마음(Mind)이 뇌(Brain)로 환원될 수 없다는 점과 과학자들이 인간 이성을 신뢰하면서도 그것이 무의미하고 길잡이 없는 과정의 산물이라고 믿는 것은 근본적인 모순이라고 지적합니다.

 

i was fascinated by mathematics from a very young age And you grew up in Ireland i grew up in in Northern Ireland Yes With parents who made me inquisitive because they allowed me space to think They were Christian but they were big enough and they loved me enough to let me think and let me explore And they actually encouraged me to study other world views which was very remarkable My father handed me a copy when I was 13 of the Communist Manifesto and I said "What's that should I read it?" Have you read it Dad no He said "But you ought to Because you need to know what other people think." And that set me on a lifelong process of playing Socrates I actually do that but that's in the business school in Oxford I play Socrates I use Plato to ask business executives about the big issues in life But your question the contrast between I'm going to say science and God and not science and faith because faith is involved in science Now I know when you introduced me you were using faith in the se nse of religion and belief in God I regard that as slightly dangerous because it gives people the impression that you got science here you got faith there and the two don't meet Well faith in English has at least two meanings One religion the Christian faith the Muslim faith the Jewish faith and so on But it also has a natural meaning trust belief and so on And I shall be saying if I get the opportunity to and remember in my old age to say so that science has faith at its heart So it's not science here and faith over there And I'm going to be talking about not faith in the sense of religion but faith in God and science Now why that's important to me there are several reasons but firstly because I was curious Christian background but wanted to discover just where my mathematics fitted inside science and then where my science fitted inside the big picture Let me uh stop you for a moment That's a remarkable statement Most people have very little fascination with math It's difficult Um so the idea that you were fascinated by math and wanted to pursue math uh is something but what was it that made you want to fit math into science i mean because there I I would guess that most mathematicians don't leap into the world of science You've leapt uh rather fully into that world and you've not left your math behind But what was it that pushed you to to to be inquisitive about science from the position of a mathematician well I think it involves Christianity in a very profound way because I hadn't been studying mathematics long Now I'm talking about being a teenager now long before I got to Cambridge I'm a teenager and I'm reading and I discover statements like Kepler statements that God has revealed to us the secrets of the universe something like that in the language of mathematics and I discovered pretty early on through my reading actually of CS Lewis because CS Lewis was a literary genius but he understood in a way that some scientists don't the big issues that arose And he made the statement in one of his books and it really stuck with me and I've used it all my life and I'm going to use it now He looks back at the origin of modern science It aros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with people like Galileo Kepler and Newton Let's just stick with those three And he makes the point that people have observed and many books have been written about him that they were all believers in God And the question comes up is there a connection between belief in God and doing science And the answer is and it still is today given by most people with nuances that there's a very profound connection Lewis put it as usual brilliantly He said men became scientific Why because they expected law in nature and they expected law in nature because they believed in a lawgiver And when I discovered that I thought this is wonderful because it's telling me that far from their belief in God hindering their science It was their belief in God that drove their science It was the motor that drove it Which is why I find your question which is right at the heart of our particularly our western culture today It's ironic that today people are saying science and God are incompatible when the very people they depended on the real geniuses of science all believed in God and so they didn't see any inconsistency Now I learned that pretty young And what it narrows down to is the very interesting fact that mathematics works That idea that math makes sense somehow that the world is under that that that that's that the world of science is related to mathematical equations Most lay people uh would never think about that And even when I have read about this concept in a newspaper article that some uh mathematician or some scientist is marveling at the idea that the laws of nature can be understood and that they can be described by math They they seem to make it sound stunning that that it's startling But to lay people it's almost as though we don't understand why it's stunning In other words we maybe we associate math and science in such a way that we think well of course it's got to be that way That's right That's right But it took a really great mind to see it was stunning Einstein Albert Einstein said "The only incomprehensible thing about the universe is that it's comprehensible." And he was clever enough to see there was an issue Oygene Vner who also with Einstein won a Nobel Prize for physics He wrote a paper which is much loved by mathematicians in 1961 and he called it the unreasonabl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The unreasonable effect Now that's very interesting Yes In other words you shouldn't expect mathematics to work Now Richard Fineman the great American Nobel Prizewinning physicist said the same thing It it's just stunning that it actually works Here is somebody and she's a mathematician and she's thinking in here about the universe out there and she comes up with equations and they describe what's out there How I mean how does that possibly work in such a way that it gives us power over these things newton law of gravity and his laws of motion alone without even Einstein's corrections can help us send a person to the moon How does that actually work now what interested me and this is a bit later on at university I read Vner's paper I've read it several times So Vner wrote the paper as late as ' 61 You said yes The unreasonable effectiveness and I said what do you mean unreasonable what is the world view that's driving that verdict and that opened a whole world to me that wasn't apparent in terms of its significance until the last 10 years or so when I saw how powerful it is Because one of the things now that I say to people is my main reason for not being an atheist as a scientist is not that I'm a Christian is because I can do science Because the only thing that makes reasonable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is my faith in God That's a very radical statement It's a very radical statement One almost never hears that statement even from people speaking on the very subject uh on which we're speaking that that that you're saying that not only are science and God uh compatible You're saying no in a way that's wrong they're they're not merely compatible Science drives you to believe in God That's right Let me make it even more provocative because I can tell that you're quite a provocative guy and I like it You see let me put it this way I feel I think and I believe there's evidence for the fact that faith in God and science sit very comfortably as they did in the minds of Galileo Kepler and Newton What doesn't fit together is science and atheism I think that atheism undermines science for a reason that is connec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So we should properly be challenging atheists far more than they challenge people of faith Well that's right And I can unpack that a little bit if you like Yeah Because it is a major argument these days You see we have this trust as scientists as mathematicians i n human reason We rely on our human reason to get to our conclusions Now in the 1940s CS Lewis was writing about this and I think people didn't really grasp what he was saying What he was saying is this He said any theory of mind that undermines the validity of human reason cannot be true because you reach that theory by reasoning Okay Again this is another heavy one I want to pause Yes these are big ideas but they're very very important ideas Um he he he phrased it in such a way Lewis did at some point I can't remember the exact quote but he says "If the universe made no sense or uh if the universe were absurd if the universe made no sense we should never have discovered that We never would be able to discover that." That that is part of it That goes down to the root of it And the reason for it and he put it brilliantly but it wasn't in the center of the big debate not to the extent it is today because what's happened in the last four or five years Yeah is that a very prominent atheis t is beginning to use Lewis's arguments And that has changed the balance completely And who is that it's Thomas Nagel in New York City In New York City That's right That's right But if you like I'll backtrack a bit so that we can unpack this so that it makes a kind of sense Yeah Lewis is suggesting that if you undermine the validity of reason your theory is wrong Now I'm suggesting that that's why Vner said mathematics is unreasonably effective because his worldview which was atheistic followed to its logical conclusion actually destroys rational thought Yes Now let me put it in the form of a discussion I frequently have I tease people my fellow colleagues They like being teased you see And I say to them "Tell me what you do science with." And of course if they're in the physical sciences they'll tell me about some very expensive piece of equipment They've got a billion dollars They I said "No no no I I don't mean that I mean oh they say you mean my and they're about to say mind when t hey remember it's not politically correct to say mine." So they say I had no idea things have gotten to the point where it's no longer politically correct to say mind Oh yes you got to say brain The mind is the brain because everything is physically okay We everything can be reduced to physics I was going to say let's let's let's let's make sure that that's clear to the audience because this this is an amazing idea Uh the idea that the mind is not the same as the brain The idea that if we were only moist robots as somebody disgustingly put it yeah computing meat computing meat if that were the case um then in effect uh anything like a computer ought to develop consciousness But nothing that we ever know of except humans has consciousness So the mind is separate from our mere brains But it has gotten to the point and I just wanted to annotate that or underscore that that you're saying that in the world of science at Oxford people are afraid to use the word mind because it implies that t here's something beyond the physical material brain Well yes that's right But it's not all people If we step back from this let's put this in a bigger framework What we're up against in the culture is the logical conclusion of a materialistic view of the universe See let's go back to Socrates and Plato because that'll help make things clear In the world of their time about 300 BC or so the Greeks were divided in their view of the big question What is the nature of ultimate reality now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all believed in the gods They believed there was something more than the physical universe But Democrus and Lucipus who were geniuses because they developed the atomic theory and the atomic theo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ever discovered Richard Fineman actually made a very interesting statement He said of all of science was lost All of science was lost But there was one result that we could preserve to pass to the next generation Just one It would have to be the at omic theory that everything is made of atoms Now atomos means indivisible We know they're divisible But the basic idea is there is stuff very tiny stuff and everything but everything is made of that stuff How how but I have to say as proud as I am to be a Greek uh the idea that someone in Greece in the 4th century Democrus came up with that idea How in the world without going into this too much but how could they back then have come up with this idea well by a brilliant piece of reasoning They they could take a piece of wood and they could cut it and it was smaller and smaller and smaller and smaller and they reckoned there must be a point at which that process stops by something that couldn't be cut and this is the basic stuff of reality But then they made a leap that this would be all of reality Now that view barrels up through the centuries and it sits in Oxford It's in fact the dominant philosophy in western academia and we call it materialism Now there's another version which we c all naturalism They're both atheistic They both deny anything beyond but some give a little bit more weight to the existence of mind that's independent of matter Now if you are a materialist then you're going to say that when everything else is said mind reduces to brain That's all it is Brain reduces to physics and chemistry and all we are is physics and chemistry Now back to my little story You see let's suppose that's true for a minute and I say to my friends tell me what you do science with I do it with my brain Tell me about your brain I have great fun with this Tell me about your brain What is the brain give me the short story Well the short story is the brain is the end product of a mindless unguided process And I look at them and I smile and I say this and you trust it You trust it Now tell me honestly and I let this sink in If you knew that the computer you use in your laboratory or any of the instruments was the end product of a mindless unguided process would you trust it i' ve never had the answer yes to that No And yet it now I say there's a problem there Can you not see that you are using something that your theories that is your philosophy your world view of what is ultimate reality is destroying the very thing you want to trust I regard that as totally inconsistent Now from where I sit atoms aren't ultimate reality Ultimate reality is God who is mind You've got it exactly the wrong way round The fundamental stuff of the universe is not mass energy It's spirit God is spirit He's not material And therefore I believe mathematics is very reasonably effective because mathematics being a product of the human mind is a reflection of the God in whose image we are made And that is why science rocketed up in the 16th century because that's exactly what Newton and company believed If you think these conversations are valuable would you do us a favor and please like this video and subscribe to this channel When you do that you help us get these conversations out to a wider audience by telling YouTube uh that people are interested in this Also you can go to socratesinthecity.com sign up for our newsletter uh and you can check back every week There's new stuff here every week Thank you for tuning in

 

저는 아주 어릴 때부터 수학에 매료되었습니다. 그리고 아일랜드에서 자랐나요. 저는 북아일랜드에서 자랐습니다. 네, 생각할 공간을 허락해 주신 부모님 덕분에 제가 호기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분들은 기독교인이셨지만, 제가 생각하고 탐구하도록 내버려 둘 만큼 충분히 크고 저를 충분히 사랑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분들은 실제로 제가 다른 세계관들을 공부하도록 격려하셨는데, 이는 매우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제가 13살 때 아버지는 저에게 '공산당 선언' 사본을 건네주시면서 제가 "이게 뭐예요, 읽어야 하나요?"라고 물었습니다. "아버지, 읽어 보셨어요?" "아니,"라고 아버지는 대답했습니다. "하지만 너는 읽어야 한다. 왜냐하면 너는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저를 평생 동안 소크라테스 역할을 하는 과정으로 이끌었습니다. 저는 실제로 옥스퍼드의 경영대학원에서 그렇게 합니다. 저는 소크라테스 역할을 하며 플라톤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경영진에게 인생의 큰 문제에 대해 묻습니다. 하지만 당신의 질문, 즉 제가 과학과 신(God)을 대조할 것이고 과학과 믿음(faith)을 대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믿음이 과학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저는 당신이 저를 소개했을 때 믿음을 종교와 신에 대한 믿음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압니다. 저는 그것을 약간 위험하다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사람들에게 여기에 과학이 있고 저기에 믿음이 있으며 그 둘은 만나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입니다. 글쎄요, 영어에서 'faith'는 적어도 두 가지 의미를 가집니다. 하나는 종교, 즉 기독교 신앙, 이슬람 신앙, 유대교 신앙 등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신뢰, 확신 등의 자연적인 의미도 가집니다. 그리고 제가 기회가 된다면, 그리고 늙어서도 잊지 않고 말할 기회가 있다면, 과학은 그 중심에 믿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기에 과학이 있고 저기에 믿음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저는 종교적 의미의 믿음이 아니라 신에 대한 믿음과 과학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것이 저에게 왜 중요한가 하면 몇 가지 이유가 있지만, 첫째는 제가 호기심이 많았고 기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지만, 저의 수학이 과학 내부에 정확히 어디에 들어맞는지, 그리고 저의 과학이 큰 그림 안에 어디에 들어맞는지 발견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잠깐 멈추겠습니다. 그것은 놀라운 진술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학에 거의 매료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렵습니다. 음, 그래서 수학에 매료되어 수학을 추구하고 싶었다는 생각은 어떤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이 당신이 수학을 과학에 접목시키고 싶게 만들었습니까? 제 말은, 대부분의 수학자들은 과학의 세계로 뛰어들지 않는다고 저는 추측하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오히려 그 세계로 완전히 뛰어들었고 수학을 뒤에 남겨두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수학자의 위치에서 과학에 대해 탐구하도록 당신을 밀어붙인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글쎄요, 그것은 기독교와 매우 심오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수학을 오랫동안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제 저는 케임브리지에 가기 한참 전인 십 대 시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저는 십 대였고, 책을 읽다가 케플러와 같은 진술들, 즉 하나님께서 수학의 언어로 우리에게 우주의 비밀을 드러내셨다는 것과 같은 진술들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실제로 CS 루이스의 독서를 통해 꽤 일찍 발견했는데, CS 루이스는 문학적 천재였지만 일부 과학자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발생한 큰 문제들을 이해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책 중 하나에서 진술을 했고 그것이 저에게 정말로 깊이 박혔으며 저는 평생 그것을 사용해 왔고 지금도 사용할 것입니다. 그는 근대 과학의 기원을 되돌아봅니다. 그것은 갈릴레오, 케플러, 뉴턴과 같은 사람들과 함께 16세기와 17세기에 발생했습니다. 이 세 명만 가지고 이야기해 봅시다. 그리고 그는 사람들이 관찰했고 그에 대해 많은 책이 쓰여졌지만, 그들 모두가 신을 믿는 사람들이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그리고 신앙과 과학을 행하는 것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나옵니다. 그리고 그 대답은,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에 의해 뉘앙스와 함께 주어지듯이, 매우 심오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루이스는 평소처럼 훌륭하게 표현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과학적이 된 이유를 물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연에서 법칙을 기대했고, 그들이 법을 주신 분(Lawgiver)을 믿었기 때문에 자연에서 법칙을 기대했기 때문이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을 발견했을 때, 신에 대한 그들의 믿음이 그들의 과학을 방해하기는커녕 신에 대한 그들의 믿음이 그들의 과학을 이끌었다는 것을 저에게 말해 주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놀랍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그것을 움직인 원동력이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특히 우리 서구 문화의 핵심에 있는 당신의 질문을 제가 발견하는 이유입니다. 오늘날 사람들이 과학과 신은 양립할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아이러니합니다. 그들이 의존했던 바로 그 사람들, 즉 과학의 진정한 천재들은 모두 신을 믿었으며 따라서 어떤 모순도 보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것을 꽤 어릴 때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귀결되는 것은 수학이 작동한다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수학이 어떤 식으로든 말이 된다는 생각, 즉 과학의 세계가 수학 방정식과 관련되어 있다는 생각 말입니다. 대부분의 일반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심지어 제가 이 개념에 대해 신문 기사에서 읽었을 때도, 어떤 수학자나 과학자가 자연의 법칙이 이해될 수 있고 수학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생각에 경탄하고 있을 때, 그들은 그것이 충격적이고 놀랍게 들리도록 만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반 사람들에게는 왜 그것이 놀라운 일인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거의 같습니다. 즉, 우리는 수학과 과학을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연관 짓는 것 같습니다. 맞습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충격적이라는 것을 보기 위해서는 정말 위대한 정신이 필요했습니다.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우주에 대해 유일하게 이해할 수 없는 것은 그것이 이해 가능하다는 사실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볼 만큼 똑똑했습니다. 또한 아인슈타인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던 유진 위그너(Oygene Vner)는 수학자들에게 매우 사랑받는 논문을 1961년에 썼고, 그는 그것을 **'수학의 비합리적인 유효성(the unreasonabl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이라고 불렀습니다. 비합리적인 효과. 그것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네. 다시 말해서, 당신은 수학이 작동할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위대한 미국인 노벨상 수상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Richard Fineman)도 똑같이 말했습니다. 그것이 실제로 작동한다는 것은 정말 놀랍습니다. 여기에 한 사람이 있는데, 그녀는 수학자이고 여기서 저 밖에 있는 우주에 대해 생각하고 그녀는 방정식을 생각해 내며 그것들이 저 밖에 있는 것을 설명합니다. 어떻게, 제 말은, 그것이 뉴턴의 중력 법칙과 그의 운동 법칙만으로도, 심지어 아인슈타인의 수정 없이도, 우리가 사람을 달에 보낼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으로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할까요? 이제 저를 흥미롭게 만든 것은, 이것은 대학에 가서 조금 더 나중의 일인데, 제가 위그너의 논문을 읽었다는 것입니다. 저는 그것을 여러 번 읽었습니다. 그래서 위그너는 '61년이라는 늦은 시기에 그 논문을 썼다고 당신은 말했습니다. 네. '비합리적인 유효성'. 그리고 저는 "비합리적이라는 것이 무슨 뜻입니까? 그 판단을 이끌어내는 세계관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저에게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열어주었는데, 그 중요성이 제가 그것이 얼마나 강력한지 알게 된 지난 10년 전까지는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사람들에게 지금 말하는 것 중 하나는 과학자로서 제가 무신론자가 아닌 주된 이유는 제가 기독교인이기 때문이 아니라 제가 과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수학의 유효성을 합리적으로 만드는 유일한 것은 신에 대한 저의 믿음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매우 급진적인 진술입니다. 그것은 매우 급진적인 진술입니다. 심지어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바로 그 주제에 대해 말하는 사람들로부터도 사람들은 그 진술을 거의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당신은 과학과 신이 양립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닙니다, 당신은 그것이 틀렸다고 말하는 방식입니다. 그들은 단지 양립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과학은 당신이 신을 믿도록 이끌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제가 당신이 꽤 도발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도발적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이 좋습니다. 제 말은,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신에 대한 믿음과 과학이 갈릴레오, 케플러, 뉴턴의 마음속에서 그랬듯이 매우 편안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증거가 있다고 느끼고, 생각하고, 믿습니다. 함께 맞지 않는 것은 과학과 무신론입니다. 저는 무신론이 수학의 유효성과 연결된 이유로 과학을 훼손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신앙인들에게 도전하는 것보다 무신론자들에게 훨씬 더 적절하게 도전해야 합니다. 글쎄요, 맞습니다. 원하시면 제가 그것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릴 수 있습니다. 네. 왜냐하면 그것이 요즘 주요 논쟁이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는 과학자로서, 수학자로서 인간 이성에 대한 이러한 신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인간 이성에 의존합니다. 1940년대에 CS 루이스는 이것에 대해 글을 썼고, 저는 사람들이 그가 말하는 것을 정말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그가 말했던 것은 이것입니다. 그는 인간 이성의 타당성을 훼손하는 정신 이론은, 당신이 그 이론에 이성(reasoning)을 통해 도달하기 때문에, 사실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좋아요. 다시, 이것은 또 다른 어려운 부분입니다. 잠시 멈추고 싶습니다. 네, 이것들은 큰 아이디어이지만 매우 매우 중요한 아이디어입니다. 음, 그는 그것을 어떤 식으로 표현했습니다. 루이스는 어느 시점에 그렇게 표현했습니다. 저는 정확한 인용구를 기억할 수 없지만, 그는 "만약 우주가 말이 안 되거나, 아니면 우주가 부조리했다면, 만약 우주가 말이 안 되었다면 우리는 결코 그것을 발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결코 그것을 발견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것이 그 일부입니다. 그것이 근본으로 내려갑니다.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 그는 훌륭하게 설명했지만, 그것은 오늘날처럼 큰 논쟁의 중심에 있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지난 4, 5년 동안 일어난 일은, 네, 매우 저명한 무신론자가 루이스의 주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균형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그가 누구인가 하면 뉴욕시에 있는 토마스 네이글(Thomas Nagel)입니다. 뉴욕시에서 말입니다. 맞습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원하신다면 제가 이것을 좀 더 자세히 풀어서 말이 되도록 조금 되돌아가겠습니다. 네. 루이스는 만약 당신이 이성의 타당성을 훼손한다면 당신의 이론은 틀렸다고 제안합니다. 이제 저는 위그너가 수학이 비합리적으로 유효하다고 말한 이유가 그의 세계관이 무신론적이었고 그것이 논리적 결론에 이르렀을 때 실제로 합리적 사고를 파괴하기 때문이라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네. 이제 제가 자주 하는 토론의 형태로 그것을 제시해 보겠습니다. 저는 동료들을 놀립니다. 그들은 놀림을 받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들에게 "당신은 무엇을 가지고 과학을 합니까?"라고 묻습니다. 물론 그들이 물리 과학 분야에 있다면 그들은 매우 비싼 장비에 대해 말할 것입니다. 그들은 10억 달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아닙니다, 아닙니다, 아닙니다. 저는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아, 제 (mind)를 말씀하시는 건가요?"라고 말하려다가, '마음(mind)'이라고 말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그들은 (다르게) 말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저는 '마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을 전혀 몰랐습니다. "아, 네, 당신은 뇌(brain)라고 말해야 합니다. 마음은 뇌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것이 물리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물리학으로 환원할 수 있습니다". 저는 잠시 멈추고 청중에게 이것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려 했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놀라운 아이디어이기 때문입니다. 마음이 뇌와 같지 않다는 생각. 누군가가 역겹게 표현했듯이 우리가 단지 '축축한 로봇(moist robots)'이거나, 네, '계산하는 고기(computing meat)'라면, 만약 그렇다면, 실제로 컴퓨터와 같은 것은 의식을 발달시켜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한 인간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음은 우리의 단순한 뇌와는 분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이 옥스퍼드의 과학계에서는 사람들이 '마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두려워한다고 말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저는 그 점을 강조하거나 밑줄을 긋고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물리적 물질적 뇌 너머에 무언가가 있음을 암시하기 때문입니다. 글쎄요, 맞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한 걸음 물러서서 이것을 더 큰 틀에 넣어 본다면, 우리가 문화적으로 맞서고 있는 것은 우주에 대한 유물론적 견해의 논리적 결론입니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으로 돌아가 봅시다. 그것이 상황을 명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들의 시대, 즉 기원전 300년경의 세계에서 그리스인들은 궁극적인 실재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큰 질문에 대한 견해에서 나뉘었습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두 신들(the gods)을 믿었습니다. 그들은 물리적 우주보다 더 많은 무언가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원자론을 개발한 천재인 데모크리토스(Democrus)와 루키푸스(Lucipus)는, 그리고 원자론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입니다. 리처드 파인만은 실제로 매우 흥미로운 진술을 했습니다. 그는 과학의 모든 것이 사라진다면. 과학의 모든 것이 사라진다면. 하지만 다음 세대에 전달하기 위해 보존할 수 있는 한 가지 결과가 있다면, 딱 한 가지, 그것은 바로 모든 것이 원자(atoms)로 만들어졌다는 원자 이론이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제 atomos는 '나눌 수 없는'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그것들이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매우 작은 물질이 있고 모든 것, 모든 것이 그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어떻게? 하지만 저는 그리스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럽지만, 기원전 4세기에 그리스의 누군가인 데모크리토스가 그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는 생각은, 세상에, 이것에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고, 그들이 그 당시에 어떻게 이 아이디어를 생각해낼 수 있었을까요? 글쎄요, 뛰어난 추론을 통해서였습니다. 그들은 나무 조각을 가져다가 자를 수 있었고, 그것은 점점 더 작아졌으며, 그들은 그 과정이 자를 수 없는 무언가에 의해 멈추는 지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실재의 기본 물질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이것이 실재의 전부일 것이라고 비약했습니다. 이제 그 견해는 수세기를 거쳐 옥스퍼드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사실 그것은 서구 학계의 지배적인 철학이며 우리는 그것을 **유물론(materialism)**이라고 부릅니다. 이제 우리가 **자연주의(naturalism)**라고 부르는 또 다른 버전이 있습니다. 그들 둘 다 무신론적입니다. 그들 둘 다 그 너머의 어떤 것도 부정하지만, 일부는 물질과 독립적인 마음의 존재에 조금 더 무게를 둡니다. 이제 당신이 유물론자라면, 당신은 다른 모든 것이 말해졌을 때 마음은 뇌로 환원된다고 말할 것입니다. 그것이 전부입니다. 뇌는 물리학과 화학으로 환원되며, 우리 모두는 물리학과 화학입니다. 이제 저의 작은 이야기로 돌아가서. 잠시 동안 그것이 사실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그리고 제가 친구들에게 당신은 무엇을 가지고 과학을 하느냐고 묻습니다. 저는 제 뇌를 가지고 과학을 합니다. 당신의 뇌에 대해 말해 보세요. 저는 이것으로 매우 재미있습니다. 당신의 뇌에 대해 말해 주세요. 뇌는 무엇입니까? 짧은 이야기를 해 주세요. 글쎄요, 짧은 이야기는 뇌는 생각이 없는(mindless), 안내되지 않은(unguided) 과정의 최종 산물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들을 바라보며 미소를 짓고 이렇게 말합니다. "그리고 당신은 그것을 신뢰합니까? 당신은 그것을 신뢰합니까?" 이제 솔직하게 말해 보세요. 그리고 저는 이 말이 가라앉도록 놔둡니다. 만약 당신이 당신의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나 어떤 장비가 생각이 없는, 안내되지 않은 과정의 최종 산물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당신은 그것을 신뢰하겠습니까? 저는 그것에 대해 '네'라는 대답을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아닙니다. 그런데 지금 저는 거기에 문제가 있다고 말합니다. 당신의 이론, 즉 궁극적인 실재가 무엇인지에 대한 당신의 철학, 당신의 세계관이 당신이 신뢰하고자 하는 바로 그 대상을 파괴하고 있다는 것을 당신은 볼 수 없습니까? 저는 그것을 전적으로 모순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제가 보는 관점에서 원자는 궁극적인 실재가 아닙니다. 궁극적인 실재는 마음(mind)이신 신(God)입니다. 당신은 그것을 완전히 거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우주의 근본 물질은 질량-에너지가 아닙니다. 그것은 영(spirit)입니다. 신은 영이십니다. 그분은 물질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저는 수학이 매우 합리적으로 유효하다고 믿습니다. 왜냐하면 인간 마음의 산물인 수학은 우리가 그분의 형상대로 만들어진 신의 반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뉴턴과 그의 동료들이 정확히 믿었던 것이기 때문에 과학이 16세기에 급격히 발전한 이유입니다. 만약 이 대화들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저희에게 호의를 베풀어 이 비디오에 좋아요를 누르고 이 채널을 구독해 주시겠습니까? 그렇게 할 때, 당신은 유튜브에게 사람들이 이것에 관심이 있다고 알림으로써 우리가 이 대화들을 더 넓은 청중에게 전달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socratesinthecity.com으로 가서 저희 뉴스레터를 신청할 수 있으며, 매주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주 여기에 새로운 내용이 있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