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타이쿤
- 조회 수 12
토마스 소올의 A Conflict of Visions는 인간 본성에 대한 두 가지 관점("제한된 비전"과 "무한한 비전")을 대비하며 사회·정치적 논쟁을 분석하는 책입니다. 아래는 핵심 문장과 번역입니다:
1. 영어 원문
"The constrained vision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human nature is inherently limited. The unconstrained vision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human nature is a malleable, almost infinite reservoir of potential."
(Ch. 1: The Two Visions)
한글 번역
"제한된 비전은 인간 본성이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무한한 비전은 인간 본성이 가소적이며, 거의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저장소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해설
소올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근본적 차이가 정책 논쟁을 형성한다고 강조합니다. "제한된 비전"은 인간의 이기심과 불완전성을 인정하는 반면, "무한한 비전"은 교육과 제도로 인간성을 재구성할 수 있다고 봅니다.
2. 영어 원문
"The unconstrained vision has led its adherents to dismiss the importance of incentives, to minimize the dangers of concentration of power, and to disregard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good intentions."
(Ch. 3: The Unconstrained Vision)
한글 번역
"무한한 비전은 추종자들로 하여금 인센티브의 중요성을 무시하게 하고, 권력 집중의 위험을 경시하며, 선의에서 비롯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무시하도록 이끌었다."
해설
소올은 이상적 비전(무한한 비전)이 현실 정치에서 실패할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복지 정책 설계 시 인간의 이기적 동기를 간과하면 비효율성이 발생한다는 비판입니다.
3. 영어 원문
"The constrained vision does not deny that human beings can learn and change, but it insists that such learning and change are constrained by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Ch. 2: The Constrained Vision)
한글 번역
"제한된 비전은 인간이 배우고 변화할 수 있음을 부정하지 않지만, 그러한 학습과 변화는 인간 본성의 고유 특성에 의해 제한된다고 주장한다."
해설
현실주의적 접근(제한된 비전)은 점진적 개혁을 지지하며, 급진적 변화가 인간 본성의 한계를 무시할 때 위험이 따른다고 봅니다.
4. 영어 원문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visions is not merely a technical disagreement about facts or logic, but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way human nature is perceived."
(Ch. 4: The Vision of the Anointed)
한글 번역
"두 비전 사이의 갈등은 단순한 사실이나 논리에 대한 기술적 불일치가 아니라, 인간 본성을 바라보는 방식의 근본적 차이에서 비롯된다."
해설
소올은 이 갈등이 이념, 정책, 사회 운동을 이해하는 핵심 열쇠라고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자유시장 vs. 정부 개입 논쟁은 인간 본성에 대한 서로 다른 가정에서 출발합니다.